분류 전체보기74 주식 PER, PBR, ROE, EPS 의 뜻 쉽게 정리 -목차- 1. PER 2. PBR 3. ROE 4. ROA 5. EPS 6. DPS 7. 배당성향 기업의 재무 상태를 간단하게 알 수 있는 지표들이 있다. 나는 아직 재무제표를 상세하게 보는 법은 몰라서 일단 목차에 있는 지표들을 가지고 기업의 재무상태를 대략적으로 파악한다. 먼저 PER과 PBR은 기업의 성장성과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1.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로 기업의 주가수익비율을 말한다. PER은 쉽게 말해 기업이 '순이익'으로 몇 년을 벌어야 '시가총액'만큼 되는지를 계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금 기업의 PER이 10이라면 10년동안 순이익만큼 벌어야 본전을 찾는다. 라는 뜻이 된다. PER로 기업의 가치가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 되었는지를 대략적.. 2020. 9. 5. 주식투자의 부작용과 폭락장에도 흔들리지 않는 힘 저걸 왜 못하지? 라는 말이 나오는 일들이 있다. 막상 해보면 정말 어려운데 말이다. 나에겐 주식이 그랬다. '그냥 오르면 팔고 떨어지면 사면 되는거 아닌가?' 왜 저렇게 다들 어렵다고 하는 걸까 이해가 안됐다. 경험을 해보니 이것 역시 백문이 불여일견이다. 떨어질 때 사지 못하는 이유는, 더 떨어지겠지 하는 마음 떨어질 때 사버리는 이유는, 금방 오르면 어떡해 하는 마음 오를 때 사지 못하는 이유는, 또 떨어지지 않을까? 하는 마음 오를 때 사버리는 이유는, 지금이 마지막 기회이면 어떡하지? 하는 마음 그리고 고점에 물리고 내가 사지 않은 주식은 약오르듯이 치솟고 저점인 줄 알았던 주가는 바닥이 어디인지도 모를 정도로 떨어지고 점점 마이너스 되어가는 차트를 보며 공포에 팔아버리고 또 조금 올랐다고 또 .. 2020. 9. 4. 미국주식 투자 시작할 때 알면 좋은 기초 상식 -목차- 1.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다우지수) 2. S&P500 지수 3. 나스닥 지수 4. ETF란? 5. 미국 주식 거래 시간 6. 미국 주식 거래 방법(증권사, 거래 방법, 환전, 환율) 7. 시가총액이 큰 우량주 위주로 투자하기 8. 배당 9. 미국 주식엔 상한가, 하한가가 없다. 한국에 코스피, 코스닥이 있다면 미국엔 다우지수, 나스닥지수, S&P 500지수가 있다. 정말 경제에 1도 관심 없던 지난 날의 나는 다우지수는 중국지수, 나스닥은 일본지수인 줄 알았다. ㅎ 1.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시장지표인 다우지수에는 일명 미국을 대표하는 30개 기업이 포함된다. 이 30개의 기업을 기준으로 시장가격을 산출한다. 사실 다우는 우상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시장에서 낙오된 기.. 2020. 9. 3. 주식투자 기초 용어정리 (한국편) 주식을 처음 시작하게 되면 생소한 용어들을 아주 많이 접하게 된다. 나는 사실 코스피와 코스닥이 뭔지도 몰랐었다. 하지만 몰라도 괜찮다. 앞으로 알면 된다! 나같은 주린이분들에게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1. 코스피, 코스닥 쉽게 말해서 코스피는 인증된 대기업이, 코스닥은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보다는 규모가 작은 기업이 상장된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코스피에는 좀더 안정적인 대기업이나 중견기업들이 상장되어 있다.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들을 오늘(2020년 9월 2일) 기준 시가총액 순위로 나열해보면 1. 삼성전자 2. SK하이닉스 3. 네이버 4. LG화학 5. 삼성바이오로직스 6. 셀트리온 7. 삼성전자우 8. 현대차 9. 카카오 10. 삼성SDI 역시나 많이 들어본 기업들이.. 2020. 9. 2. 이전 1 ··· 15 16 17 18 19 다음